문헌록 전자족보(대동보) > 문헌록
           
1. 문헌 목록 〉22. 22世 〉23. <부정공>학헌처사휘연종묘갈명(鶴軒處士諱淵鍾墓碣銘)
1. 문헌 목록 〉22. 22世 〉25. <부정공>묵암공휘기환(연철)행장(黙菴公諱淇煥(淵徹)行狀)
1. 문헌 목록 > 22. 22世 >  
24.<부정공>성재처사휘낙모(연성)묘갈명(省齋處士諱樂模(淵性)墓碣銘)
省齋處士諱樂模墓碣銘 省齋趙公歿後善狀出於知己栗溪鄭公之手矣今於其二子東昱君之請碣文也據而撰之則人可謂所據者是無愧於古人安且成之信筆而亦信之乎公諱樂模字聖則省齋號也趙貫淳昌以高麗檢校璋爲肇祖而至麗季忠獻公農隱元吉副正虔谷瑜父子俱顯入本 朝慶州尹琛統制使爾重亦顯在鎬潤錫淇運考以上三世慶州金時鼎女妣也公以 高宗甲戌生于順天之仙邊里體幹端直神彩英毅志氣剛決性識通敏甞從履齋趙公永學學趙公亟稱其學問踐履之實學既優人勸以參同庚科因出身公以仕非其時不應只窮居守志無失本分爲畢生訃孝友其天性故拔貧誠養以篤事生之職遵禮無違以盡事死之道感化其繼母而竟合既分之爨懇勸其富姊而貧姊得以料生爲安親兆而眼中無獨牛設契滋殖而先山之祭田牲石一無不備擇師敎導而爲子姪者視新學如鴆毒焉公性忠信篤實其持身也有律宅心也以公愼言語重歩趨處事而裁折調停各得其宜御衆而揚抑恩威並施其當自夫變日㞃益杜門鏟跡沈潜經子諸書以廣其知見至入耋而不懈也以庚寅二月二日卒葬于所居村案山 原配延日鄭浹女生五子男東善東昱東曜女適李龍浩沈麒植宗勲麟勲道勲良勲鄭官澤朴煥斗妻長房子相勲明勲寬勲沈潤植妻二房子鼎勲聖勲三容三房子餘繁不錄銘曰 所存者深所守者固所發者條緖粲然此公知己狀中言今欲銘於羡門石是即逼眞復何加焉後之人可於此三言而求公雖千百載庶追想其賢 戊申五月下澣 安東 權昌鉉 撰 성재처사휘낙모묘갈명(省齋處士諱樂模墓碣銘) 성재 처사 조공이 별세한 후에 知己 율계 정공이 좋은 글을 지었다. 이제 그 둘째아들 동욱(東昱)군이 청한 갈문을 그에 의거하여 쓰니 사람이 가히 의거할 바라 이른자 옛사람 안차성의 신필에 부끄러움이 없으니 또 믿을 것인가. 공의 휘는 낙모(樂模)요, 자는 성칙(聖則)이며, 호는 성재고, 순창 조씨이다. 고려 검교 장(璋)을 상조로 고려말에 이르러 충헌공 농은 원길(元吉), 부정 건곡 유(瑜) 부자가 함께 드러났고 조선에 들어와 慶州尹 침(琛)과 통제사 이중(爾重)이 또 현달하였다. 재호(在鎬), 윤석(潤錫), 기운(淇運)은 고 이상 三세요, 경주 김씨 시정(時鼎)의 딸은 그 어머니이다. 고종 갑술년(甲戌年一八七四)에 공이 순천 선변리에서 출생하였는데, 체격이 단직하고 신체가 영의하며 지기가 강결하고 성식이 통민하여 일찌기 履齋 조공 영학(永學)을 종유하니 조공이 극히 그 학문과 품행의 진실함을 칭찬하였다. 배운 것이 이미 우수함에 사람이 동경과에 참방하여 인하여 출신하기를 권하니 공이 벼슬 할 때가 아니라고 불응하고 다만 궁하게 살고 뜻을 지켜 본분을 잃지 아니한 것이 일생의 지표라 하고 효우는 그 천성인 고로 가난을 이겨 지성껏 봉양하여 사생의 직분을 두텁게 하고 예를 어김없이 준행하여 사사의 도리를 다하며 그 계모를 감화케 하여 이미 분산한 가구를 합하고 그 부자 누이를 권하여 가난한 누이를 살도록 협력하였다. 친산을 편안하게 하고자 하나 안중에 독우가 없자 계를 만들어 식리하여 선산의 제전과 상석을 한 곳도 갖추지 아니한 곳이 없었고 스승을 가려 자질을 교도하며 신학문 보기를 鴆새의 毒같이 보았다. 공의 품성이 충신하여 독실한 것은 그 몸가짐이요, 규율이 있는 것은 마음을 정한 것이다. 공이 말을 삼가하고 걸음을 무겁게 하여 일을 당하여 재결 조정이 각각 그 적의하고 여러 사람을 거느리며 드날리고 억제한 은위를 아울러 마땅하게 베풀었다. 세변이 날로 심하여지자 더욱 문을 닫고 자취를 감춰 경전과 백가서를 깊이 연구하여 그 식견을 넓히였다. 경인년(庚寅年一九五○) 二월 二일에 졸하니 사는 마을 안산에 장사하였다. 부인은 延日 鄭浹의 따님으로 아들은 동선(東善), 동욱(東昱), 동요(東曜)요, 딸은 이용호(李龍浩), 심기식(沈麒植)의 처며 손자 종훈(宗勲), 인훈(麟勲), 도훈(道勲), 양훈(良勲) 이다. 정관택(鄭官澤), 박환두(朴煥斗)의 처는 큰아들 소생이요, 상훈(相勲), 명훈(明勲), 관운(寬勲)과 심윤식(沈潤植)의 처는 둘째아들 소생이며 정훈(鼎勲), 성훈(聖勲), 삼용(三容)은 세째아들 소생이고 나머지는 다 기록하지 아니한다. 다음과 같이 銘한다. 가진 바가 깊고 所存者深 지킨 바가 굳으며 所守者固 밝힌 바가 조리가 빛나니 所發者條緖粲然 이것이 공을 아는 자의 글 가운데 말이라 此公知己狀中言于 이제 묘갈에 새기고자 한 것은 今欲銘於羡門石 이것이 곧 핍진하니 是即逼眞 다시 무엇을 더하겠는가 復何加焉 뒤에 사람이 가히 세가지 말로 공을 찾는다면 後之人可於此三言而求公 비록 천백 년이라도 거의 그 어짐을 추상할 것이다 雖千百載庶追想其賢 안동(安東) 권창현(權昌鉉) 지음
 
1. 문헌 목록 〉22. 22世 〉23. <부정공>학헌처사휘연종묘갈명(鶴軒處士諱淵鍾墓碣銘)
1. 문헌 목록 〉22. 22世 〉25. <부정공>묵암공휘기환(연철)행장(黙菴公諱淇煥(淵徹)行狀)